시놀로지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2) : 시놀로지에서 워드프레스 및 웹포털까지 설치하기

설치방법 : 수동설치 vs 도커 vs 패키지

필자는 맨 처음 시놀로지 패키지에 있는 워드프레스로 설치 했었는데 속도도 엄청나게 느릴 뿐더러 인증서 설정도 어려워서 바로 지웠다.

도커의 경우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는 하지만 안정성과 속도를 모두 고려했을 때, 그리고 추가적인 워드프레스 설치 등 사후 관리를 고려했을 때 수동 설치가 가장 낫다고 해서 수동설치로 진행했다.

지금도 수동설치를 한 것에 만족하고 다른 방식으로 바꿔야겠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는다.

쉬운 과정이나 주의할 것으로 워드프레스 압축파일은 풀어 놓고 시놀로지에 업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시놀로지에 업로드 해 놓고 압축을 풀어야한다.

설치 전 필수 패키지 : webstation, phpMyadmin, MariaDB10, PHP 8.2, Apache HTTP server 2.4 -> 특별히 최신 버전 이슈가 없다면 그냥 최신으로 설치한다.

MariaDB10 : 설치 후 패키지를 열어준다. 이후 루트 패스워드를 지정해준다. phpMyadmin에도 쓰이는 비밀번호이므로 무조건 기억해준다. phpMyadmin에서 테이블에서 보이는 mysql에 해당하며 PHP와 데이터서버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phpMyadmin : 기본 아이디 비번은 root / mariaDB10 루트비밀번호이다. mariadb10과 연동하는 최종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저장 장소이다. 여기서 PHP, Apache, mariadb가 모두 연동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초보자는 다른거 하지말고 그냥 root 이외에 본인이 접속하고 사용할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만 만들면 해야할일은 끝이다. 새로 만든 계정에 권한을 줄 경우 항상 전체적 권한을 모두 체크해준다.

사실 인터넷 글들을 보면 phpMyadmin에서 따로 아이디를 만들고 권한을 주라고 하는데 블로그를 다 만들어보고 보니 굳이 필요한 과정인가 싶긴하다. 관리는 root레벨에서 하고 wordpress 웹스테이션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아이디가 생성이 되었다. 따로 만든 아이디는 쓰임새가 없는 것 같다.

아래 테이블에서 mysql이 mariadb10, worpress가 이후 웹스테이션에 만들어질 wordpress라는 이름의 php 기본 스크립트 언어 웹사이트이다.

PHP 8.2 : 설치만 해주면 되고 따로 설정할 것이 없다. 웹스테이션 설정 시 선택하는 용도로 쓴다. 웹용 언어 프로그램으로 html없이 텍스트 편집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Apache HTTP server 2.4 : 리눅스에서 가장 대표적인 백엔드이다. Nginx랑 뭘 써야할지 헷갈릴 수 있으나 대부분 apache를 선택하므로 우리도 대세를 따르자. nginx는 시놀로지에서 만든 서버 백엔드라고 한다. PHP 8.2와 마찬가지로 설치만 해주고 따로 설정할 것은 없다. 웹스테이션 설정 시 사용한다.

웹스테이션 설정 : 기본적으로 외부 접속 시 내부포트 80번, 443번을 담당한다. 집에서 내부아이피:80으로 검색했을 때 나오는 초기화면은 web 폴더에 기본적으로 있다. 외부에서 우리가 구매한 도메인 접속 시 웹스테이션을 통해 시놀로지의 파일스테이션에 있는 워드프레스 폴더로 접속이되어서 블로그를 이용할 수 있다.

설정이 어려운데, 기존 글들은 대부분 DSM 6번대 기준으로 설명했기 때문이다. 여기선 DSM 7.2 기준으로 설명한다.

1.웹 서비스 설정

먼저 웹스테이션에 접속 후 웹 서비스를 클릭해주자. 필자는 이미 블로그를 만든 상태이므로 화면에 보이는 서비스들은 이미 생성된 것들임을 감안하자.

아래 사진에서 우리는 기본 스크립트 언어 웹사이트를 만들 것이고, 기본 서비스와 타사 패키지 웹사이트는 이미 위에서 사전 패키지를 설치할 경우 이미 다 만들어져 있는 상태일 것이다.

웹서비스를 클릭해주고 생성을 클릭한다.

기본 스크립트 언어 웹사이트를 클릭하고 PHP 버전은 최신으로 선택해준다.

프로필 만들기를 클릭해준다.

프로필 이름과 설명을 본인이 원하는대로 해주고 PHP 버전을 최신으로 설정한다.

만든 PHP 설정을 확인해본다.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HTTP 백엔드 서버는 당연히 apache로 설정한다.

2.웹 포털 설정

웹 포털을 처음 클릭하면 기본 포털의 2가지는 이미 만들어진 상태일 것이고 우리는 사용자 정의된 포털을 만들 것이다. 아래 사진은 이 블로그 관련 웹포털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보여준다.

만약 기본포털에서 phpMyAdmin이 만들어져 있지 않다면 만들어준다.

이제 사용자 정의된 포털을 만들어 주자.

웹 서비스에서 미리 wordpress 이름의 PHP 기본 스크립트 언어 웹사이트를 만들어 놓은 덕분에 여기서 서비스 항목에서 wordpress 선택이 가능한 것이다. 아래와 같이 서비스, 포털 유형 등을 선택해주고 호스트 이름은 본인이 구매한 도메인 이름을 정확하게 넣어준다.

보통 DNS서버에서 CNAME 레코드로 www.도메인도 같이 설정해주기 때문에 여기서도 www. 을 앞에 붙인 도메인으로 포털을 하나 더 만들어준다.

이제 웹스테이션 설정이 끝났고 외부에서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서버(클라우드플레어) -> 시놀로지 웹스테이션으로 접근하고 웹스테이션에서 시놀로지 내에 구축된 워드프레스 블로그로 접속이 된다.

Leave a Comment